David Beckham Alan Shearer Michael Owen England World Cup 1998Getty Images

[월드컵 등번호 특집] 9번의 전설 찰튼과 시어러, 그리고 케인

축구에서 등번호가 달리기 시작한 건 1924년으로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그 이전까지는 축구에 등번호 자체가 없었다. 그마저도 월드컵에서 처음 도입된 건 1950년 브라질 월드컵에서였다. 당시엔 고정된 등번호가 아닌 선발 출전하는 선수에게 해당 경기마다 1번부터 11번의 등번호를 달고 출전하는 형태였다.

결국 1954년 스위스 월드컵에 이르러서야 지금처럼 선수 고유의 등번호를 가지고 경기에 나섰다. 이를 기점으로 등번호는 제각각의 의미를 띄기 시작했다. 몇몇 선수들은 특정 등번호를 통해 개인의 아이덴티티를 구축하기 시작했다. 

게다가 월드컵 참가 선수가 22명에서 23명으로 늘어난 건 2002년 한일 월드컵부터이다. 이전까지는 22인으로 월드컵 로스터가 정해져 있었다. 즉 등번호 23번이 등장한 건 그리 오래 전 일이 아니라고 할 수 있겠다(그런 관계로 골닷컴에서 제공하는 등번호 특집 칼럼에서 등번호 23번은 제외했다).

기사는 아래에 이어집니다

상당수의 경우 등번호 1번부터 11번까지는 전통에 따라 주전 선수들이 많이 다는 번호이다. 그 중에서도 9번은 최전방 공격수들의 고유 번호와도 같다. 호나우두와 가브리엘 바티스투타 같은 전설적인 공격수들이 모두 9번을 달고 월드컵 무대를 빛냈다.

World Cup Backnumber


# 9번의 전설 찰튼과 시어러, 그리고 케인

축구 종주국 잉글랜드는 월드컵에서 기대치에 항상 미치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준 대표적인 국가로 손꼽힌다. 월드컵 초창기에 자진해서 대회에 불참했던 잉글랜드는 1950년 브라질 월드컵에 처음으로 등장했으나 조별 리그에서 탈락하며 체면을 구겼다. 그나마 1954년 스위스 월드컵에서 8강에 진출했으나 우루과이에 2-4로 패하며 탈락했다. 1958년 스웨덴 월드컵에선 다시 조별 리그 탈락이라는 수모를 겪어야 했다.

이렇듯 기대 이하의 모습을 보이던 잉글랜드에 한 줄기 희망이 등장했다. 바로 잉글랜드가 자랑하는 두 보비, 보비 찰튼과 보비 무어였다. 1962년 칠레 월드컵 당시 20대 초반이었던 찰튼(공격수)과 무어(수비수)는 공수의 중심축을 담당하며 잉글랜드의 8강행을 견인했다.


주요 뉴스  | "[영상] 카리우스, "내가 리버풀을 망쳤다""

이어진 1966년 자국 월드컵에서 찰튼과 무어는 팀의 핵심 선수로 자리잡았다. 팀의 주장이었고, 찰튼은 명실상부한 잉글랜드의 에이스였다. 등번호도 찰튼은 11번에서 9번으로, 무어는 16번에서 6번으로 변경했다. 이들을 중심으로 잉글랜드는 공수에서 짜임새 있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마침내 감격적인 첫 월드컵 우승 트로피를 들어올렸다.

특히 찰튼은 포르투갈과의 준결승전에서 홀로 2골을 넣으며 결승 진출을 이끌었다(2-1 잉글랜드 승). 서독과의 결승전에서도 선제 실점을 허용한 상황에서 찰튼은 제프 허스트의 동점골을 어시스트했다. 결국 잉글랜드는 연장 접전 끝에 4-2로 승리할 수 있었다. 이러한 활약상을 인정받아 찰튼은 골든볼(대회 MVP)을 수상했고, 1966년 발롱 도르를 차지하며 유럽 최고의 선수로 우뚝 섰다.

Bobby CharltonGetty Images

1970년 멕시코 월드컵에서도 찰튼의 활약상은 이어졌다. 이제 어느덧 만 32세에 접어든 베테랑 찰튼이 이끄는 잉글랜드는 비록 브라질과의 조별 리그 2차전에서 0-1로 패했으나 루마니아(개막전)와 체코를 1-0으로 꺾고 2승 1무로 8강에 진출했다. 

잉글랜드의 8강 상대는 1966년 월드컵 결승전 상대였던 서독. 당시 세계적인 수비형 미드필더였던 프란츠 베켄바워(이 때까지만 하더라도 수비수로 보직을 변경하기 이전이었다)가 찰튼 봉쇄에 나섰으나 잉글랜드는 이를 역이용하면서 알렌 멀레리의 선제골(32분)과 마틴 피터스(50분)의 추가골로 2-0 리드를 잡고 있었다. 하지만 멕시코의 찜통 더위와 베켄바워의 밀착 수비에 찰튼의 체력은 급격히 떨어지기 시작했고, 이 과정에서 베켄바워가 69분경 골을 성공시켰다. 이에 알프 람지 잉글랜드 대표팀 감독은 지친 찰튼을 빼고 콜린 벨을 교체 투입하는 강수를 던졌다. 이는 결과적으로 악수였다. 찰튼이 빠지면서 자유를 얻은 베켄바워는 마음껏 그라운드를 활보했고, 결국 서독은 우베 젤러의 동점골로 연장까지 승부를 끌고간 데 이어 게르트 뮐러의 결승골로 3-2 역전승을 거두었다.

찰튼은 1970년 월드컵을 마지막으로 대표팀 은퇴를 선언했다. 찰튼과 무어가 빠진 잉글랜드는 1974년 서독 월드컵과 1978년 아르헨티나 월드컵에 모두 유럽 지역 예선에서 탈락하는 수모를 겪으며 암흑기를 보내야 했다. 1982년 스페인 월드컵과 1986년 멕시코 월드컵에선 연달아 8강에 오르긴 했으나 기대치에는 여전히 미치지 못하는 모습이었다. 그나마 1990년 이탈리아 월드컵에서 간판 공격수 게리 리네커(10번)와 '천재 미드필더' 폴 게스코인(19번)의 활약에 힘입어 준결승에 진출했으나 서독에게 승부차기 접전 끝에 아쉽게 탈락했다.


주요 뉴스  | "​[영상] 챔피언스리그 3연패, 레알의 우승 축하 행사 속으로"

이후 잉글랜드는 다시금 1994년 미국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에서 조기 탈락하며 단단히 체면을 구겼다. 이 시기에 잉글랜드에 새로운 영웅이 등장했다. 바로 앨런 시어러였다. 만 21세였던 1992년, 대표팀에 승선한 그는 1993/94 시즌과 1994/95 시즌, 그리고 1995/96 시즌 블랙번 로버스에서 잉글랜드 프리미어 리그 3시즌 연속 30골 이상을 넣으며 스타덤에 올랐다. 이어서 자국에서 열린 유로 1996에서도 5골과 함께 대회 득점왕에 등극하면서 잉글랜드의 준결승 진출을 견인했다(잉글랜드는 이번에도 1990년 월드컵과 마찬가지로 준결승전에서 독일에게 승부차기 끝에 탈락했다).

자연스럽게 1998년 프랑스 월드컵을 앞두고 잉글랜드 국민들의 시선은 주장 시어러에게로 집중됐다. 유로 1996에서 가능성을 보여줬기에 기대치도 컸다. 하지만 결과부터 얘기하자면 잉글랜드는 아르헨티나와의 16강전에서 데이빗 베컴이 퇴장을 당하면서 수적 열세에 부딪쳤고, 결국 승부차기 끝에 탈락했다. 시어러 역시 4경기에서 2골 1도움을 기록하며 준수한 활약상을 펼치긴 했으나 스포트라이트는 당시 만 18세의 '원더보이' 마이클 오언이 독차지했다.

유로 2000에서 시어러는 조별 리그 3경기에서 2골을 넣으며 선전했으나 정작 잉글랜드는 포르투갈과 루마니아에게 패해 탈락의 고배를 마셔야 했다. 이후 시어러는 2000/01 시즌을 앞두고 심각한 부상을 당하면서 대표팀 은퇴를 선언했다.

David Beckham Alan Shearer Michael Owen England World Cup 1998Getty Images

시어러의 은퇴 이후 잉글랜드는 정통파 공격수 부재에 시달려야 했다. 1998년 월드컵에서 화려하게 등장한 오언은 고질적인 햄스트링 부상으로 고전했고, 웨인 루니는 공격형 미드필더에 가까운 공격수였다(스타일적인 면에선 시어러보단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선배이기도 한 찰튼을 닮았다고 할 수 있겠다). 이로 인해 에밀 헤스키와 피터 크라우치 같은 공격수들에게 의존해야 했던 잉글랜드였다.

이렇듯 공격수 기근에 시달리던 잉글랜드에 새로운 희망이 등장했다. 바로 그 주인공은 해리 케인이다. 케인은 여러모로 시어러를 연상시키는 선수다. 덩치도 비슷하고 버티는 힘이 좋으며, 강력한 킥을 자랑한다. 게다가 시어러와 케인 모두 프리미어 리그 3시즌 연속 득점왕을 차지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게다가 케인 역시 1998년 프랑스 월드컵 당시 시어러처럼 주장직을 수행하고 있다. 자연스럽게 영국 언론들은 케인을 시어러에 비교하고 있고, 시어러 역시 후배 케인을 누구보다도 아끼고 있다.

다만 시어러는 월드컵과는 크게 인연이 없다. 월드컵 본선 참가는 단 1회가 전부이고, 그마저도 16강 진출에 만족해야 했다. 시어러의 명성에는 미치지 못한다고 할 수 있겠다. 즉 잉글랜드 국민들은 시어러를 닮은 케인이 선배를 넘어서길 바라마지 않고 있다. 어떤 의미에서는 포지션과 스타일적인 면에서는 차이가 있으나 위대했던 9번 찰튼의 뒤를 잇길 기대하고 있다.

Harry Kane박성재 디자이너
광고